자산관리 5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에어비앤비 등록 기준 완전정리 (2025년 기준)

요즘 에어비앤비로 사이드 수익을 얻고자 하는 분들이 많죠. 특히 외국인 관광객을 타겟으로 도심 한복판에서 에어비앤비를 운영하고 싶은 분들에겐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이 가장 합법적인 방법이에요.하지만 아무나, 아무 곳에서나 할 수 있는 건 아니랍니다.이번 글에서는 서울에서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을 통해 에어비앤비를 합법적으로 운영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하나하나 자세히 정리해볼게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이란?간단히 말해서,“사업자가 직접 거주하는 주택에서 외국인 관광객에게 민박을 제공하는 사업”을 말합니다.이건 그냥 일반적인 숙박업(호텔, 모텔 등)과는 다르고,사업자 본인이 해당 집에 실제로 살고 있어야 하고, 거주하면서 외국인 관광객에게만 단기 숙박을 제공할 수 있어요.✅ 어디에서 할 수 있나요? ..

[주식] 250409 트럼프, 대부분 국가에 대한 관세 90일 유예 발표 — 중국엔 125% 인상

​2025년 4월 9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부분의 국가에 대한 관세 인상을 90일간 유예하고,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를 125%로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주요 내용:관세 유예 대상: 미국과의 무역 관계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대부분의 국가에 대한 관세 인상을 90일간 유예하고, 이 기간 동안 관세율을 10%로 설정했습니다. ​중국에 대한 조치: 중국에 대해서는 '존중의 부족'을 이유로 관세를 125%로 인상했습니다. ​발표 배경:최근 관세 인상으로 인해 글로벌 시장이 불안정해지고, 미국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자,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이번 발표를 했습니다. https://apnews.com/article/trump-tariffs-stock-market-china-r..

[미국주식] 미국의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의 영향과 전망 250408

상호관세의 영향1. 글로벌 무역 갈등의 격화관세 대상국 57개국은 이번 조치를 무역전쟁의 신호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큽니다.중국, EU, 일본, 한국 등 주요 교역국의 보복 조치가 예상됩니다.실제로 중국은 이미 미국산 제품에 34%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50% 관세로 대응하겠다고 경고한 상황입니다.이런 보복성 조치들은 전 세계 공급망에 충격을 주고, 기업 신뢰도를 저하시키며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2. 미국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수입 물가 상승이 불가피하며, 전자제품, 자동차, 의류, 산업 장비 등 여러 소비재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부품 수입에 의존하는 제조업체들은 비용 부담 증가로 인해 생산 축소나 감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국내 생산업체 일부는 ..

[미국주식] 미국의 새로운 관세 발표, 한국 부동산 시장,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은?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연설을 통해 새로운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전 세계 무역 질서에 큰 변화를 예고하며, 특히 한국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부동산 시장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건축 비용 상승과 그로 인한 주택 가격 상승, 모기지 금리 변동 등이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1.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 개요보편적 10% 관세 도입: 모든 수입품에 대해 일괄적으로 10%의 관세를 부과합니다. 이 조치는 4월 5일부터 발효됩니다.국가별 '상호' 관세 적용: 약 60개 국가를 대상으로, 해당 국가의 무역 관행에 따라 10%에서 50%까지 ..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종교단체)

종교단체 기부금 공제 대상 확인 1) 기부금 적격 종교단체종교의 보급 또는 그 밖의 교화를 목적으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 설립한 비영리법인  * 종교단체 문화체육관광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허가여부 확인방법  - 문화체육관광부홈페이지(www.mcst.go.kr) → 자료공간 → 비영리법인 현황 → 문화체육관광부 허가법인 또는 지방자치단체 허가법인에서 검색  종교단체 기부금 세액공제의 산출 흐름  1) 근로소득 확인  2) 지정 기부금(종교단체) 공제대상금액 한도: 근로소득금액의 10%      * 공제액의 한도로 착각 할 수 있습니다  3) 지정기부금(종교단체): 기부금  4) 공제율: 지정기부금(20%), 1천만원 초과분(35%)  5) 공제액 산출   * 공제받지 못한 특례..

자산관리 2024.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