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주식투자

[미국주식] 미국의 새로운 관세 발표, 한국 부동산 시장,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은?

선량한 운용역 2025. 4. 4. 05:12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연설을 통해 새로운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전 세계 무역 질서에 큰 변화를 예고하며, 특히 한국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부동산 시장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건축 비용 상승과 그로 인한 주택 가격 상승, 모기지 금리 변동 등이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1.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 개요

  • 보편적 10% 관세 도입: 모든 수입품에 대해 일괄적으로 10%의 관세를 부과합니다. 이 조치는 4월 5일부터 발효됩니다.
  • 국가별 '상호' 관세 적용: 약 60개 국가를 대상으로, 해당 국가의 무역 관행에 따라 10%에서 50%까지 추가 관세를 부과합니다. 이는 4월 9일부터 시행됩니다. 주요 국가별 관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국: 기존 20%에 추가로 34% 부과, 총 54%
    • 유럽연합(EU): 20%
    • 일본: 24%
    • 대한민국: 25%

* 관련 주요매체/기사

https://www.china-briefing.com/news/trump-raises-tariffs-on-china-to-54-overview-and-trade-implications/

 

Trump's China Tariffs Raised to 54% - Overview and Trade Implications

Trump's China tariffs have risen to 54%, putting pressure on Chinese exporters and reshaping global trade relations.

www.china-briefing.com

 

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25/apr/03/china-condemns-unilateral-bullying-as-it-calls-on-us-to-drop-tariffs

 

China condemns ‘unilateral bullying’ as it calls on US to drop tariffs

Chinese commerce ministry says ‘there is no way out for protectionism’ as tariffs rise from 20% to 54%

www.theguardian.com

 


2. 미국의 관세 부과 의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 무역 적자 해소: 2024년 기준 약 1.2조 달러에 달하는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 자국 제조업 보호 및 부흥: 수입품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생산을 촉진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의도입니다.
  • 외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 대응: 미국은 특정 국가들이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높은 관세와 비관세 장벽이 불공정하다고 판단하여,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고자 합니다.

* 관련 주요매체/기사

https://time.com/7274039/trump-tariff-announcement/

 

Trump Announces Sweeping Tariffs on Countries Around World

Trump announced what's expected to be one of the largest hikes in US trade barriers in a century.

time.com


3.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이번 관세 정책은 한국 경제에 여러 방면에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수출 기업의 경쟁력 약화: 미국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전자제품 등 주요 수출 품목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글로벌 공급망 재편 압력: 기업들은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생산 기지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국내 제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무역 갈등 심화 가능성: 한국 정부는 WTO 제소나 보복 관세 부과 등 대응 조치를 검토할 수 있으며, 이는 한미 간 무역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4.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1. 건축 비용 상승

  • 수입 자재 가격 인상: 철강, 알루미늄, 목재 등 주요 건축 자재에 대한 관세 부과로 인해 건축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강 가격 상승으로 인해 일부 개발업체는 프로젝트 예산이 수백만 달러 증가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2. 주택 가격 상승 압력

  • 신규 주택 건설 비용 증가: 건축 비용 상승은 신규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전체 주택 시장의 가격 상승 압박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3. 모기지 금리 변동

  • 단기 금리 하락 가능성: 관세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으로 투자자들이 안전 자산인 국채로 이동하면서, 단기적으로 모기지 금리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장기 금리 상승 위험: 그러나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모기지 금리가 상승할 위험이 있습니다.

4. 주택 수요 감소 가능성

  • 경제 성장 둔화와 실업률 상승: 관세로 인해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의 주택 구매력이 약화되어 주택 수요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5. 건설 산업의 불확실성 증가

  • 프로젝트 지연 및 투자 감소: 건축 자재 비용 상승과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일부 개발업체들은 프로젝트를 연기하거나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는 건설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관련 주요매체/기사

https://www.businessinsider.com/tariffs-trump-steel-aluminum-tiles-development-real-estate-construction-2025-3

 

Trump's tariffs are starting to bite American builders

Commercial real estate developers expected a rebound in 2025. Instead, tariffs have driven up costs and drained optimism.

www.businessinsid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