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확정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은 기존 2030 계획이 강조했던 “3도심 + 7광역중심 + 12지역중심”의 다핵 구조를 한층 발전시켜, ‘생활권 기반 도시’를 지향하는 게 핵심내용이다.
핵심 키워드:
- 다핵 → 다중생활권(Multi-Living Zones)
- 기능 중심 → 사람 중심
- 도시경쟁력 → 도시공존력
- 고밀도 성장 → 지속가능한 압축도시
도시계획도서 링크 >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3030000001
서울도시공간포털 : 도시계획체계>2040서울도시기본계획
보행일상권 조성 걸어서 누리는 다양한 일상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과 각종 생활 영역이 디지털(온라인)화되며 시공간 제약이 사라졌습니다. 덕분에 ‘내가 있는 지금의 공간과 시간’을 가
urban.seoul.go.kr
2040계획에서 본 3대 오피스 권역의 재정의 방향 - 주요 내용요약
1. 도심권 (CBD: 광화문, 종로, 시청)
- 역사문화 중심지로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
- 종로 일대는 저층·보존형 개발과 리노베이션 중심으로 유도.
- 야간·주말 비활성 문제 해결을 위해 주거 및 문화 프로그램 도입 강화.
- 서울시는 “직주혼합형 도심”을 장기 목표로 설정.
➕ 주요 전략
종묘·세운상가 주변을 중심으로 한 문화재 연계 도시재생
- 광화문광장 인근의 보행 중심권역 확장
- 노후 오피스 리뉴얼 인센티브 확대
➕ 개발 방향:
- 역사문화 보존과 현대적 비즈니스 기능의 조화: 전통적인 역사문화 자산을 보존하면서도 현대적 비즈니스 기능을 강화하여 글로벌 행정·비즈니스 중심지로 발전시킵니다.
- 보행 친화적 환경 조성: 광화문광장과 주변 지역의 보행 환경을 개선하여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입니다.
➕ 주요 프로젝트 및 예상 타임라인:
- 2025년: 세운상가 재정비 완료
- 2027년: 광화문광장 주변 보행 환경 개선 사업 완료
- 2030년: 노후 오피스 리모델링 및 복합 개발 추진
2. 여의도권 (YBD: 국제금융지구)
- 국제금융기능을 명확하게 고도화
- 과거처럼 업무기능만이 아니라, 복합 기능 (거주 + 문화 + 녹지) 통합 추진
- 파크원, IFC, 금융타운 재정비계획과 연계하여 스마트도시 시범권역으로 확장 계획
- 특히 탄소중립형 개발 모델로 추진돼 ESG 투자 유치에도 유리한 포지션을 가지게 됨
➕ 주요 전략:
- ‘여의도 일대 스마트 금융허브’ 조성
- 여의도공원 지하에 광역 보행 네트워크 연결
- IFC파크원MBC 사이의 통합 개발 플랫폼 유도
➕ 개발 방향:
- 국제금융 중심지로의 기능 강화: 여의도를 글로벌 금융 허브로 육성하여 국제 경쟁력을 높입니다.
- 복합 개발을 통한 생활·문화 인프라 확충: 업무, 주거, 문화 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개발을 추진하여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합니다.
➕ 주요 프로젝트 및 예상 타임라인:
- 2026년: 파크원 완공 및 금융기관 입주
- 2028년: 여의도공원 지하 광역 보행 네트워크 구축 완료
- 2032년: 여의도 스마트시티 시범 사업 완료
3. 강남권 (GBD: 테헤란로, 삼성동)
- 강남권은 여전히 서울의 경제중심지로서 유지되지만,
- 공간 구조 개편과 초고밀도 개발에 따른 생활환경 개선이 핵심 과제로 제시됨
- 현대차 GBC 개발을 중심으로, MICE 산업, 한류 문화, 벤처금융 기능을 결합한 복합 거점화 추진
- 2040 계획에선 ‘글로벌 혁신거점’으로 정의됨
➕ 주요 전략:
- 삼성역~봉은사역 일대 지상보행네트워크 재구성
- 강남역~양재 간 AI 산업 육성벨트 조성
- 오피스 중심 → 혁신산업복합지구 전환 유도 (주거 + 오피스 + 스타트업 생태계)
➕ 개발 방향:
- 첨단 산업과 벤처 기업의 클러스터 형성: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IT, 바이오 등 첨단 산업과 스타트업이 모이는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합니다.
- MICE 산업과 한류 문화를 결합한 복합 공간 개발: 삼성동 일대를 중심으로 MICE 산업과 한류 문화를 결합한 복합 공간을 개발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거점으로 육성합니다.
➕ 주요 프로젝트 및 예상 타임라인:
- 2025년: 현대차 GBC(Global Business Center) 착공
- 2029년: 삼성동 MICE 복합단지 1단계 완공
- 2035년: 강남역~양재 AI 산업 벨트 조성 완료
참고자료 & 주요 링크
공식 문서 & 리포트
-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서울시 도시계획국 공식 보고서)
👉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전문 PDF (서울시) - 서울시 도시계획포털 – ‘2040 도시기본계획’ 소개 페이지
👉 https://urban.seoul.go.kr - 국토연구원 – 도시공간 구조 변화 분석 자료
👉 https://www.krihs.re.kr
주요 뉴스 기사
- “서울시, 2040 도시기본계획 발표…‘다핵에서 다중생활권 도시’로” – 서울경제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M8KDUZXR - “2040 서울 도시계획,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으로 진화” – 조선일보
👉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2/11/30/VHKXN5B6YZHR5HLVGUSI5JGQXA - “여의도, 국제금융중심지로 키운다…서울 2040 도시계획 발표” –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21130036300004
시각화 및 도해 정리
- 서울 도시기본계획 일러스트 요약 (서울시 공식 블로그)
👉 https://blog.seoul.go.kr/2040plan - 오피스 권역별 미래지도 정리 이미지 (블라인드, 조감도)
👉 https://www.blind.co.kr/story/office-belt-seoul
'상업용부동산 > Market 시장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업용부동산] 흔들리는 상업용 오피스 시장: 위기인가, 전환의 기회인가? (2) | 2025.04.16 |
---|---|
[상업용 부동산] 25년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 리뷰 (오피스) (3) | 2025.04.03 |